1.증발(EVAPORATION)
액체상이 주위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인위적으로 에너지를 가해 기체상으로
변하는 경우
2.융해(FUSION)
고체상이 주위에서 열을 흡수하여 액체상으로 변하는 경우
3.응고(SOLIDIFICATION)
액체상이 주위로 열을 방열하여 고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4.응축(CONDENSATION)
기체상이 주위로 열을 방열하여 액체로 변화하는 경우
5.승화(SUBLIMATION)
고체가 주위에서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6.비열(SPECIFIC HEAT, Kcal/Kg℃)
물체의 단위 중량의 온도를 1℃ 만큼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정적비열 :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의 비열
-.정압비열 :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의 비열
7.감열(현열 SENSIBLE HEAT)
물체에 열을 가하면 물체에 비축된 내부 에너지가 증가되고 동시에 팽창하여
외부로 일을 한다.
가열된 열량의 일부가 보통 물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물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열을 감열
모든 물질은 가열에 의하여 온도가 T1에서 T2로 변화하는 사이에
물질의 상(phase)이 변화하지 아니하고 온도 변화에만 관여하는 열
8.잠열(LATENT HEAT)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기체, 또 고체가 기체로 물체가 그 상태를 바꿀 때는
필요한 열
온도 상승의 효과를 나타내지 아니하고 물질의 상(phase)만이 변화 시키는데
소비되는 열
'설계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냉동 기초 이론 _ 2 (0) | 2014.06.07 |
---|---|
간단한 냉동 기초 이론 (0) | 2014.06.07 |
간단한 열역학 기초 이론 (0) | 2014.06.07 |
RT (냉동톤) (0) | 2014.06.07 |
제빙톤이란? (0) | 2014.06.07 |